티스토리 뷰


자유의 여신상을 세울 당시 이러저러한 잡음이 많았다는 얘기는 얼핏 들었는데 여기에 대한 얘기도 비교적 자세히 실려있네요.자유의 여신상과 관련된 오래된 사진들(당시 제작현장포함)이 함께 실려있는데 매우 흥미롭습니다.자유의 여신상에 크게 두가지 상반된 이미지가 겹쳐 있었네요(망명자의 어머니로서 억압에서 벗어나 자유를 갈망하는 이민을 환영하는 상징물, 이름모를 잡신과 의식을 가진 잡다한 군중들로부터 미국을 지키는 하얀여신;;). 자유와 평등의 나라 라는 이미지의 이민자들의 나라 미국에서 벌어지는 이민자 배척, 백인 우월주의, 노예해방, 여권신장운동 등등의 불평등한 사회현실 사이의 괴리감을 자유의 여신상이라는 상징적 조형물을 내세워 고발합니다.

미국의 상징인 자유의 여신상의 신화와 감춰진 실상 등을 다룬 책. 제작 과정과 미국에 기증된 배경, 여신상의 이미지가 미국의 역사와 미국인의 생활 속에 어떻게 변질되고 왜곡되었는지를 보여준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아메리칸 드림의 선봉장인 여신상이 어떻게 미국의 건국 정신뿐만 아니라 미국의 모순까지도 드러내는지를 알 수 있다.


1. 아메리칸 드림의 선봉장
2. 자유의 여신상, 그 형상과 이미지
3. 여신상, 이민의 상징
4. 억압되고 불평등한 대우를 받았던 흑인
5. 이민 배척과 백인 우월주의
6. 동양인에 대한 차별과 인권 유린
7. 여성의 사회적 불평등과 여권 운동
8. 역설의 상징, 자유의 여신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