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사용자 스토리

fdhv 2024. 2. 3. 12:54


또하나의 애자일 모델 관련 책으로, 프로젝트의 결과물이 가져야 하는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사용자 스토리"라는 것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책입니다.제목에서처럼, 이 책은 사용자 스토리가 무엇인지를 설명합니다.하나의 스토리는 다음의 특성을 갖고 있어야 하는데1. 독립적이다2. 협상 가능하다3. 추정 가능하다4. 작다5. 테스트 가능해야 한다라는 것이지만, 이것만 보면 그냥 개별 모듈 정의하는 것과 별다를 것 없어 보입니다.스토리가 만들어지면, 이후 각각의 스토리에 대한 점수와 우선순위를 추정합니다.그리고, 전체 스토리를 완성하게 되기까지 (즉, 프로젝트가 완성될때까지)에 대한 계획인 릴리즈 계획을 세웁니다.그 다음으로는 세부 반복 과정인 이터레이션에 대한 계획을 세웁니다. (각 이터레이션에서 어떤 스토리를 구현할 것인지를 정하고, 선택된 스토리의 세부 사항에 대한 개발 책임을 나누고, 스토리에 대한 설계는 각 이터레이션이 시작될때 수행합니다)매번 이터레이션이 끝이 나면, 그 결과를 바탕으로 릴리즈 계획을 업데이트 합니다. (이터레이션에서 실패한 작업이나, 새롭게 추가된 스토리를 확인하고, 프로젝트의 제약(기간과 비용)에 따라서 덜 중요한 스토리를 제외하고 이터레이션 계획을 수정합니다그리고 그 이후는, 좋은 스토리를 만들기 위한 지침들과 이터레이션 작업시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해서 대처하는 팁들이 나와있습니다만, 솔직히 그것들을 그대로 사용하지는 못하고, 그냥 예시 수준에서 받아들이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보입니다.이 책의 초판이 2006년에 나왔고 (우리나라에 출판될 때), 2년 후, 같은 저자의 다른 책인"불확실성과 화해하는 프로젝트 추정과 계획"가 출판되었습니다만, 내용은 거의 비슷합니다만,뭐 개인적으로는, 한 권을 읽는다면, 이 책보다는 다음 책인 "불확실성~" 을 읽는 것이 좋아보입니다.애자일 방법도 사실 계속해서 조금씩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애자일 모델의 발전 역사에 대해서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면, 굳이 예전 책을 찾아가면서 읽을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사용자의 이야기 를 듣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은 당연하다. 사용자 스토리는 실제 사용자들에게 정말 가치 있는 기능을 간단명료하게 기술한 것이다. 이 책의 저자 사용자 스토리를 작성하는 것은 물론이고, 사용자 스토리를 여러분의 개발 프로세스에 접목시킬 수 있도록 하나에서 열까지 충실히 설명한다.
이 책에서 스토리를 잘 작성하기 위한 포인트뿐만 아니라 조심해야 할 사항을 배우게 될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 스토리를 수집하는 현실적 방법들과, 실제 사용자를 만나볼 수 없는 상황에 대한 대처 방법도 배울 것이다. 사용자 스토리를 수집한 다음 조직화하고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계획, 관리, 테스트 단계에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 사용자 역할 모델링 - 사용자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
* 스토리 수집 - 사용자 인터뷰, 설문, 관찰, 워크숍
* 대리 사용자(proxy)와 작업 - 관리자, 교육담당, 영업 등
* 인수 테스트 작성
* 스토리를 이용한 우선순위, 일정계획, 비용추정
* 각 장 끝에 연습 문제 포함


차례

추천의 말_김창준
옮긴이의 말
한국어판에 보태는 말
추천의 말_켄트 벡
머리말

1부 시작하기
1장 개요
2장 스토리 작성하기
3장 사용자 역할 모델링
4장 스토리 수집하기
5장 대리 사용자와 일하기
6장 사용자 스토리 인수 테스트
7장 좋은 스토리를 위한 지침

2부 추정과 계획
8장 사용자 스토리 추정
9장 릴리즈 계획
10장 이터레이션 계획
11장 속도 측정 및 모니터링

3부 자주 논의하는 주제
12장 스토리가 아닌 것
13장 왜 사용자 스토리인가?
14장 스토리 냄새 카탈로그
15장 스크럼에서 사용자 스토리 사용하기
16장 그 밖의 주제

4부 예제
17장 사용자 역할
18장 스토리 작성
19장 스토리 추정
20장 릴리즈 계획
21장 인수 테스트

5부 부록
부록 A 익스트림 프로그래밍의 개요
부록 B 연습문제 해답

참고문헌
감사의 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