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절반 이상의 하루오」 “... 세상의 모든 목적지들이란 어떻게 태어나는 것일까. 사람에게
목적지가 필요한 게 아니라 목적지가 사람들을 필요로 하는 게 아닐까. 인간이 떠나고 돌아오는 게 아니라 떠날 곳과 돌아올 곳이 인간들을 주고받는
게 아닐까...” (p.15) 나와 그녀가 인도를 여행하는 중에 만났던 일본인, 일본인 친구보다 다른 나라 친구들이 더 많을 것이라고 말하였던,
외할아버지가 미국인이고 어머니는 오키나와 태생이었던, 하루오에 대한 이야기이다. ‘일본인이라고 할 수도 없고 일본인이 아니라고 할 수도 없고’
그래서 ‘절반 이상의 하루오는 어딘지 다른 하루오’라고 농담하던 하루오에 대한 이야기이자 나와 그녀의 이야기이기도 하고 나의 아버지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어딘가에 적을 두고 있다고 할 때의 그 ‘적’이라는 것이 있다면, 우리는 온전히 그 ‘적’에 해당하는 것도, 그렇다고 그
완전히 자유롭다고도 할 수 없는 것 아닐까. 그것을 몸소 보여준 하루오 같은 인물도 있는 것이지만 어쨌든 우리도...
「아르놀피니 부부의 결혼식」 1434년 작 얀 반 에이크의 그림 <아르놀피니 부부의 결혼식(지오반니 아르놀피니와
그의 부인의 초상)>이라는 유명한 (제목은 모를 수 있지만 보면 누구든 아 이 그림, 이라고 할 수 있을만큼) 그림을 토대로 하여 뿜어내는
작가의 상상력 같은 것일까... 월수금 오후 2시 주인이 자리를 비운 사이 아파트를 청소하는 일을 하는, 까칠한 이혼녀인 나와 그 집주인인 그
사이의 일방적인 교감의 이야기라고나 할까...
「올드 맨 리버」 이태원에 살고 있는 스물넷 알렉스, 어린 시절 미국의 가정에 입양되었다가 지금 다시 이곳으로 돌아온
알렉스의 이야기이다. 알렉스의 양아버지 니콜라는 중영 비행기의 베테랑 승무원이고 니콜라의 아내는 일찌감치 죽었고, 그래서 알렉스는 그의
양어머니의 얼굴을 모른다. 니콜라의 부모는 미국에서 태어났지만 아버지는 마케도니아 출신이었다. 니콜라의 부모는 동갑이었고 히피였다. 알렉스는
미국에 있을 때 베트남 출신의 리엔을 세탁소에서 만나서 잠시 사귀었다. “... 리엔이 청소하러 오는 밤 9시 반과 그 시간의 코인 세탁소에
대해 알은 장황하게 이야기했다. 코인 세탁소라는 곳은 하나의 우주 같아. 이 세상이 코인 세탁소의 일부가 아닐까 그런 착각이 들 정도라니까.
문을 열고 들어가면 모든 이들이 똑같은 자세로 똑같은 표정으로 앉아 있는 거야...” (p.95) (아, 이 대목에서는 일본 영화
<란도리>가 잠시 떠올랐고...) 그리고 지금 알렉스는 이태원에 살며, 친부모를 찾는다는 인터뷰로 티비에 출연하기도 했고, 때때로
히스 레저를 떠올리며, 히스 레저의 팔에 있던 문신 Old Man River 와 관련한 인터뷰의 말을 기억한다.
「기린이 아닌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 “기린이 아닌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를 해드릴까요? ... 내가 그렇게 말하면,
당신은 어떤 생각을 합니까? 정말 기린이 아닌 모든 것을 생각합니까? ... 그럴 리가. 기린이 아닌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를 해드리겠습니다,
라고 내가 말하면 사람들은 당연하다는 듯 기린에 대한 모든 것을 생각합니다. 마치 내가 이렇게 말한 것처럼 말이죠. 이제부터 기린에 대한 모든
것을 이야기해드리겠습니다-라고요.” (p.111) 진실의 말과 거짓말, 운명의 오해 혹은 이해될 수 업는 운명에 대한 이야기가 진행된다. 그것은
작가가 떠올리지 말라고 끊임없이 이야기하지만 결국 가닿을 수밖에 없는 진짜 이야기일 수도 있다. 누군가 나는 거짓말쟁이입니다, 라고 말할 때
우리가 빠질 수밖에 없는 논리적 함정 같은 것에 대한 이야기이다.
「우리 모두의 정귀보」 ‘무명이었다가 사후에 유명해진 화가 정귀보’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러한 정귀보에 대한 글의
청탁을 받은 내가 차곡차곡 쌓아 올리는 정귀보의 전생애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죽기 하루 전의 정귀보가 된 듯이, 나는 도토리묵(주인장이
서비스로 준 것이다)과 파전을 앞에 두고 막막한 감정에 잠겨 있다... 나는 무언가가 내 안에서 조금씩 피어오르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
어쩌면 그것은 정귀보의 인생에 대한 기나긴 글의 첫 문장 같은 것인지도 모른다... 첫 문장에서 두 번째 문장이 나오고, 두 번째 문장에서 세
번째 문장이 이어지고, 세 번째 문장에서 또 다른 문장이 태어날 것이다. 그러던 어느 날, 나는 거기서 아무렇지도 않게 걸어 나오는 정귀보를
보게 될는지도 모른다...” (pp.180~181)
「칠레의 세계」 소설집의 후반에 실린 소설로 갈수록 이야기는 점차 난해해진다. 휘어지고 튀어 오르고 자꾸 멀리 떠난다.
인과 관계의 어느 지점인가에 2006년 겨울 죽은 늙은 독재자 피노체트가 있다. 또한 이야기가 통과하는 어느 구역에 나와 한때 연예인이었던 나의
아내가 있다. 13이라는 숫자는 이 구역에서만 통용되는 치트키 같은 것일는지도 모른다. ‘칠레의 세계’는 독자에게 따로 이해를 구하지 않는
세계이다.
「어느 날 욕실에서」 “... 침묵이 이어졌다. 이마에 땀이 흐르기 시작했다. 입안에서 침이 말랐다. 다른 사람들과
있을 때 침묵을 견디지 못하는 건 내 고질병이다. 혼자서 오래 침묵하기 경연대회 같은 것이 있다면 우승도 할 수 있을 텐데, 어찌 된 일인지
다른 사람과의 침묵은 10초도 버틸 수가 없다.” (p.223) 왠지 이 남자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이 견딜 수 없는 침묵 탓에 남자는
자신이 세상에서 제일 좋아하는 것이 욕실, 이라고 하지 않아도 좋을 말을 하게 된 것이다. 낡은 아파트이지만 욕실을 리뉴얼하기로 작정하는 것도
그것이 바로 욕실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바로 그 욕실에 누군가가 죽어 있다.
「이반 멘슈코프의 춤추는 방」 소설가가 집, 상트페테르부르크 바실리 섬 스례드니 15번가 98번지 5층 7호에 있는,
을 비운 사이 그 집에 기거하게 된 나의 이야기, 혹은 그 집에서 내가 맞닥뜨리게 된 유령에 관한 이야기이다. “... 알고 보니 자신이
유령이었다는 이야기의 사회적 버전을 혹시 아는가? 인민의 적을 퇴치하기 위해서 스스로를 처단해야 했던 혁명가의 이야기 말이야. 자본주의를
증오했는데, 알고 보니 자신이 주식 투자자였다는 남자의 이야기는 또 어떤가. 악몽이란 언제나 그런 식이지.” (p.284)
작가의 소설들이 평범하지 않다. 일상의 궤를 흐트러뜨리고 그 자리에 자신이 품은 생각을 스리슬쩍 밀어 넣는다. 관념적인 너스레가
강한 편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작가의 소설을 읽기 위해서는 소설을 읽는 동안 머릿속에서 도형을 만들어가는 것이 좋다. 소설을 읽는
동안 그 도형은 각을 늘려가게 될 것이다. 그것이 몇 각형이 될지 알 수 없지만 소설을 읽는 동안 그 모서리들을 만들고, 마지막 순간 그것들을
하나로 뭉뚱그려 둥글게 만들 수 있어야 한다. 물론 쉬운 일은 아니다.
이장욱 / 기린이 아닌 모든 것 / 문학과지성사 / 291쪽 /
2015 (2015)
잘 알지도 못하면서 알 것만 같은,
누구의 것도 아닌 우리 모두의 세계
당신은 어디 있습니까,
이 세계의 안입니까 바깥입니까?
저 자신도 이해할 수 없는 곳에, 소설은 문득 도착해 있습니다
우리 시의 미래에 이장욱이 있었던 것처럼, 이제 우리 소설의 미래도 이장욱을 가졌다 (백지은)라는 평을 들은 지 2년, 이제 우리 소설의 ‘현재’가 된 이장욱의 두번째 소설집 기린이 아닌 모든 것 이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고백의 제왕 이후 5년 만에 묶어낸 이번 소설집에서 이장욱은 확신 너머의 진실과 포착되기 어려운 삶의 틈에 주목한다. 인류와 개인, 진실과 허구, 이곳과 먼 곳… 말로 갈린 의미의 경계에서 묘하게 유머러스하고 건조하면서도 단정한 문장으로 언제라도 되돌아와서 확인해야 할 문학의 영원한 출발점 인 아직까지 씌어져본 적 없는 삶 (김동식)을 끊임없이 더듬고 있는 것이다.
기린이 아닌 모든 것 에 수록된 대다수 작품은 최근 몇 해 동안 거듭 김유정문학상, 문지문학상, 젊은작가상, 이효석문학상, 현대문학상, 한국일보문학상 등 유수의 문학상 본심에 올랐거나 최고상을 수상했다. 적확하고 다양한 평들이 이어졌다. 이장욱의 소설은 침투력이 강한 정서적 밀도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좀처럼 대상과의 정서적 거리를 흐트러뜨리지 않 (박혜경)으며, 그리 복잡하지 않은 이야기를 통해 인생의 역설 혹은 아이러니를 제시 (류보선)한다. 단편소설의 미학적 원칙에서 약간 비껴서 있지만 매력적인 문장들 사이에서 불쑥 등장 하는 미지의 시간에 대한 예감 만으로도 아름다울 수 있음(이광호)을 보여주고, 결국 ‘사라짐’의 정서를 통해서만 간신히 환기될 수밖에 없는 삶의 진실에 다가선다(강동호). 풍성한 평 너머, 이장욱의 소설에는 끝내 포착되지 않는 지점이 있다. 완벽한 기획 의도 와 어긋나는, 삶의 틈과 만나 소설 스스로가 이끌어낸 생각하지 않았던 생각 던지지 않았던 질문 들, 평론가에겐 즐거운 난제를, 독자에겐 영문 모를 위로나 쓸쓸한 재미를 안겨주는 빈 곳. 이장욱의 소설 전체를 안개처럼 리듬처럼 둘러싼 단언 불가능한 정서야말로 오늘의 문학을 말할 때 이장욱의 이름이 반드시 호명되는 이유일 것이다. 익숙함과 낯섦, 건조한 유머와 묘한 안도감, 확률과 우연이 교차되는 경계에, 우리의 표정을 닮았지만 그 누구의 것도 아닌 얼굴―모두의 세계가 있다.
절반 이상의 하루오
아르놀피니 부부의 결혼식
올드 맨 리버
기린이 아닌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
우리 모두의 정귀보
칠레의 세계
어느 날 욕실에서
이반 멘슈코프의 춤추는 방
- Total
- Today
- Yesterday
- 하백의 열 가지 후회 2
- 세상에 감성을 입히다
- 그 사람의 서재
- 한국 작가가 읽은 세계문학
- 심야식당 16
- 29.7
- 강신주의 다상담 1
- 불연속 연애 2 (완결)
- 귀염둥이 아니면 어때?
- 소로우처럼 살라
- 트레킹으로 지구 한바퀴 - 중국ㆍ중동ㆍ아프리카 편
- 기절했다 깬 것 같다
- 2017 김종석 행정법총론 OX 문제집
- 토미에 2
- 전교 1등의 책상
- the Exclusive Biography
- 만만하게 시작하는 왕초보 영어독해
- 단톡 국어영역 현대시
- 박혜란의 육아 이야기 세트
-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 Cam Jansen #30 : The Wedding Cake Mystery
- 기독교강요 (상)
- 메가스터디 N제 사회탐구영역 한국지리 406제 (2017년)
- 버스킹을 하다
- 그래!
- 로알드 달 베스트 세트
- 시선들
- 쓰르라미 별이 뜨는 밤
- EBS 수능특강 사회탐구영역 생활과 윤리 (2017년)
- 성경전서 <구약+신약> 개혁한글판 (모바일 전자성경책)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