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현대시가 쉬워지는 감상원리 (2018년용)

수험생활 때 국어영역을 풀면서 분야별로 풀 때 도움을 주는 책이에요 일반 모의고사문제집처럼 여러 분야를 조금씩 다루는게 아니라 이 책 시리즈는 내가 약한 분야를 골라서 집중공략하게 도와주는 책이에요 수능 기출지문부터 빈출지문, 예상지문까지 담겨있는 책이고 현대시만 다루다보니 기출문제집에서 보지 못한 여러 현대시도 볼 수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1. 어떤 현대시든 쉽게 감상할 수 있는 다섯 가지 감상 원리를 익힌다.
현대시는 화자·대상, 정서·태도, 시어·시구, 시적 표현, 주제 이렇게 다섯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현대시의 구성 요소를 찾아내는 방법이 바로 감상 원리이다. ‘1부 감상 원리 이해하기’에서는 이렇게 봐도 저렇게 봐도 내용이 알쏭달쏭한 현대시를 감상하는 공통의 원리를 사고 과정에 따라 제시하였다. 친근한 대화체로 된 원리 설명과 예시를 통해 현대시 감상법을 쉽게 익힐 수 있을 것이다.

2. 개정 문학 교과서와 국어 교과서에 실린 주요 현대시를 다섯 가지 감상 원리로 익힌다.
‘2부 감상 원리 연습하기’에서는 개정 문학 교과서와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주요 130 작품을 원리 학습의 감상 원리를 적용하여 과제를 해결하고 깊이 있는 감상을 해 보는 연습을 한다. 감상을 마친 후에는 수능형 문제를 풀어 보는 단계별 학습을 통해 현대시 감상 능력을 완성할 수 있다. 다섯 가지 감상 원리를 적용하여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이 책에 실린 현대시뿐 아니라 그 어떤 현대시를 접하게 되더라도 쉽게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것이다.

1부 감상 원리 이해하기

원리 학습을 하기 전에① 시의 제목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가지고 추측하라
원리 학습을 하기 전에② 시를 읽으며 장면을 머릿속에 그려라
1일차 STEP1 화자와 시적 대상을 파악하라
ㆍ해보기 1 내 마음은_김동명
ㆍ해보기 2 귀천_천상병
ㆍ해보기 3 벼_이성부
ㆍ해보기 4 파장(罷場)_신경림
2일차 STEP2 화자의 정서와 태도를 파악하라
ㆍ해보기 1 내 마음을 아실 이_김영랑
ㆍ해보기 2 경부 텰도 노래_최남선
ㆍ해보기 3 평상이 있는 국숫집_문태준
ㆍ해보기 4 긍정적인 밥_함민복
3일차 STEP3 시어·시구의 함축적 의미를 이해하라
ㆍ해보기 1 못 위의 잠_나희덕
ㆍ해보기 2 선운사에서_최영미
ㆍ해보기 3 감자 먹는 사람들-삽질 소리_정진규
ㆍ해보기 4 저문 강에 삽을 씻고_정희성
4일차 STEP4 일상적 표현과 다른 시적 표현에 주목하라
ㆍ해보기 1 별 헤는 밤_윤동주
ㆍ해보기 2 산도화_박목월
ㆍ해보기 3 단단한 고요_김선우
ㆍ해보기 4 즐거운 편지_황동규
5일차 STEP5 시인이 전달하고자 한 궁극적인 주제를 생각하라
ㆍ해보기 1 외할머니의 뒤안 툇마루_서정주
ㆍ해보기 2 눈_김수영
ㆍ해보기 3 오렌지_신동집

2부 감상 원리 연습하기

〈개화기 ~ 광복 이전〉
6일차 001 해에게서 소년에게_최남선
002 가는 길_김소월
7일차 003 산유화_김소월
004 접동새_김소월
8일차 005 왕십리_김소월
006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_이상화
9일차 007 님의 침묵_한용운
008 알 수 없어요_한용운
10일차 009 사랑의 측량_한용운
010 사랑_한용운
11일차 011 춘설_정지용
012 고향_정지용
12일차 013 모란이 피기까지는_김영랑
014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_김영랑
13일차 015 오월_김영랑
016 거울_이상
14일차 017 해바라기의 비명_함형수
018 고향_백석
15일차 019 모닥불_백석
020 수라_백석
16일차 021 여우난 곬족_백석
022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_백석
17일차 023 국수_백석
024 흰 바람벽이 있어_백석
18일차 025 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_이용악
026 추일서정_김광균
19일차 027 바위_유치환
028 생명의 서_유치환
20일차 029 난초4_이병기
030 별_이병기
21일차 031 달밤_이호우
032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_신석정
22일차 033 절정_이육사
034 교목_이육사
23일차 035 서시_윤동주
036 쉽게 쓰여진 시_윤동주
24일차 037 자화상_윤동주
038 참회록_윤동주
25일차 039 길_윤동주
040 그날이 오면_심훈
더 읽을 거리 - 동심가_이중원, 절명시_황현

〈광복 이후 ~ 1950년대〉
26일차 041 청산도_박두진
042 해_박두진
27일차 043 산이 날 에워싸고_박목월
044 청노루_박목월
28일차 045 달_박목월
046 꽃덤불_신석정
29일차 047 낙화_조지훈
048 사향_김상옥
30일차 049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 방_백석
050 국화 옆에서_서정주
31일차 051 견우의 노래_서정주
052 추천사_서정주
32일차 053 꽃_김춘수
054 플라타너스_김현승
33일차 055 세월이 가면_박인환
056 봄비_이수복
34일차 057 초토의 시?8_구상
058 병풍_김수영
35일차 059 폭포_김수영
더 읽을 거리 - 새_박남수, 완화삼-목월에게_조지훈

〈1960~ 1980년대〉
060 추억에서_박재삼
36일차 061 흥부 부부상_박재삼
062 껍데기는 가라_신동엽
37일차 063 종로 오가_신동엽
064 봄은_신동엽
38일차 065 거산호_김관식
066 묵화_김종삼
39일차 067 겨울 바다_김남조
068 성북동 비둘기_김광섭
40일차 069 저녁에_김광섭
070 풀_김수영
41일차 071 파밭 가에서_김수영
072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_김수영
42일차 073 농무_신경림
074 봄_이성부
43일차 075 숲_정희성
076 직녀에게_문병란
44일차 077 신선 재곤이_서정주
078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_김춘수
45일차 079 강우_김춘수
080 조그만 사랑 노래_황동규
46일차 081 슬픔이 기쁨에게_정호승
082 이별 노래_정호승
47일차 083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_김광규
084 서울 꿩_김광규
48일차 085 납작납작-박수근 화법을 위하여_김혜순
086 우리가 물이 되어_강은교
49일차 087 상한 영혼을 위하여_고정희
088 우리 동네 구자명 씨_고정희
50일차 089 새벽 편지_곽재구
090 대설주의보_최승호
51일차 091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_황지우
092 한국생명보험회사 송일환 씨의 어느 날_황지우
52일차 093 겨울 나무로부터 봄 나무에로_황지우
094 너를 기다리는 동안_황지우
53일차 095 머슴 대길이_고은
096 선제리 아낙네들_고은
54일차 097 프란츠 카프카_오규원
098 라디오와 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가 있다면_장정일
55일차 099 가시나무_하덕규
100 고목_김남주
56일차 101 질투는 나의 힘_기형도
더 읽을 거리 - 성묘_고은, 엄마 걱정_기형도

〈1990년대 이후〉
102 동해 바다_신경림
57일차 103 산에 대하여_신경림
104 장자를 빌려_신경림
58일차 105 면면함에 대하여_고재종
106 사과를 먹으며_함민복
59일차 107 성에꽃_최두석
108 작은 부엌 노래_문정희
60일차 109 바퀴벌레는 진화 중_김기택
110 멸치_김기택
61일차 111 들판이 적막하다_정현종
112 흑백 사진-7월_정일근
62일차 113 매미 울음 끝에_박재삼
114 땅끝_나희덕
63일차 115 달팽이_정호승
116 수선화에게_정호승
64일차 117 봄 길_정호승
118 세한도-벼루 읽기_이근배
65일차 119 우포늪_황동규
120 순간의 꽃_고은
66일차 121 배를 밀며_장석남
122 수묵 정원 9-번짐_장석남
67일차 123 산수유나무의 농사_문태준
124 이제 오느냐_문태준
68일차 125 견회요잔디에게 덜 미안한 날_복효근
126 아직은 연두_박성우
69일차 127 가지가 담을 넘을 때_정끝별
128 원어_하종오
70일차 129 동승_하종오
130 참 좋은 말_천양희